로드밸런싱 -네트워크 부하 분산
클러스트의 한 종류이며, 1대의 서버 시스템에 대규모로 들어오는 요청(데이터,패킷)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 처리하여 서버부하, 트래픽증가, 접속속도 저하 등의 단일 서버로 인하여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부하 분산 서비스입니다.
일반적으로 은행 잔고와 같이 동기화 시간에 민간한 부분은 로드밸런싱을 쓰지 않습니다..
로드 밸런싱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용 스토리지가 있으면 클러스터링이라고 합니다.
기능 추가로 가서~
네트워크 부하 분산 을 추가하고 설치 해 줍니다.
설치 완료 후 이번에는 역할 추가 로 가서~
웹 서버(IIS)를 추가 하고 설치합니다.
기본값으로 설치하겠습니다~
마찬가지로 서버2에서도 네트워크 부하 분산 관리자와 웹서버를 설치해 주세요.
관리 도구의 네트워크 부하 분산 관리자 를 열어주세요.
우클릭 후에 새 클러스터를 선택~
호스트에 서버1을 선택~ S1 연결을 누르시면~
서버1의 아이피 주소가 잡히네요.
다음을 누르면~
우선 순위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.
엔터프라이즈 버전은 32개까지 등록이 가능합니다. 1 선택후 다음~
아이피 주소를 추가 해 줍니다.
이 아이피 주소는 공통 아이피로 서버1과 서버2가 같이 사용할 아이피 주소입니다.
식당에서 종원업 이름을 부를 필요 없이 웨이터라고 부르면 모두 부를수 있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.
다 되었으면 다음~
여려명이 받으려면 멀티캐스트를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.
설정을 끝마치고~
구성 변경 중~
구성 변경이 끝나면 보시는 것처럼 S1 앞의 아이콘이 녹색으로 바뀌게 됩니다.
클러스터에 호스트 추가로~
서버2 (S2)를 추가해 줍니다.
다음~
서버2까지 추가 완료 되면,
클러스터 속성으로 들어가서~
포트 규칙 탭으로 들어가서 편집을 선택~
다중 호스트 선호도를 없음을 선택합니다.
이제 설정 완료 되었네요. 이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가서 테스트 해볼께요.
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접속후에 실행 -CMD를 열고
ping 서버1 아이피 주소 -t
서버1에 ping 테스트를 해볼께요.
이번에는 서버2의 ping 테스트~
마지막으로 공통 ip로 ping 테스트를 해줍니다.
모두 이상없네요.
이때 서버1을 잠시 꺼주면....
서버 1은 응답이 없어지지만, 서버2와 공통 아이피는 잘 응답이 오네요.
서버1을 다시 켜고 서버2를 꺼놓으면 서버2를 제외하고는
서버1 공통ip는 응답이 잘 오네요.
이처럼 로드 밸런싱을 이용하면 한 군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장애가 생겨도
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합니다.
'I 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MAP 옵션 정리 (0) | 2015.08.30 |
---|---|
SNMP 주요 MIB 정보 (0) | 2015.08.30 |
STG (SNMP Traffic Grapher) version 1.4.5 - 메뉴얼 (0) | 2015.08.30 |
주요 ISP 업체의 대표 네임서버 IP 목록 (0) | 2015.08.30 |
cband 설정 ( 도메인별 트래픽 제한 ) (0) | 2015.08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