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서버를 가지고 공유기 공유기 처럼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방법이다.
리눅스 PC 하나 (랜카드 2개) 와 스위치나 허브가 필요하다.
공유기 포트가 부족하여 여러개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이나 자신의 입맛에 맞게
사설 네트워크를 관리하고자 할때 좋은 방법일 수 있다.
[DHCP] 셋팅
yum install dhcp
yum install dhcp-devel
vim /etc/dhcpd.conf
- dhcpd.conf 파일은 원래 없는데 /usr/share/doc/dhcp... 여기에 기본 예제 conf 파일이 존재 이거 복사해서 쓴다.
allow booting; allow bootp; # 뭔지는 모르겠지만 꼭 써주란다. (DNS 설정, 네임서버의 동적업데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부분) subnet 192.168.3.0 netmask 255.255.255.0 { # 아이피 대역과 넷마스크 # 네임서버와 무슨 타임 오프셋? # dhcp 서버에서 뿌려줄 아이피 범위 지정 user computer { |
[Masqurade]
eth0 - 공인
eth1 - 사설
vim iptables
# Generated by iptables-save v1.2.11 on Mon Oct 5 15:44:15 2009 #포트 포워딩 (옵션) # 마스쿼레이드 설정 # Completed on Mon Oct 5 15:44:15 2009 |
마스쿼레이드 패킷 변환
기본적으로 패킷이 2개로 발생 (주소 변환때문에)
아웃바운드 192.168.69.2 → xx125.xx.113 211.xx.6.xx → xx.125.xx.139 (MASQ 주소 변환) 인바운드 xx.125.xx.139 → 211.xx.6.xx xx.125.xx.113 → 192.168.69.2 (MASQ 주소 변환) |
'I 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proxy 분배 현황 커맨드로 확인하기기 (haproxy stats command line) (0) | 2015.08.29 |
---|---|
TCP proxy (0) | 2015.08.29 |
네트워크 루핑 (looping)이 발생될때 서버는 어떤 로그를 남기는가? (0) | 2015.08.29 |
HTB (htb) 트래픽 제한걸기 (네트워크 셰이핑 방법) (0) | 2015.08.29 |
HPING (hping3)설치 및 사용 (0) | 2015.08.29 |